› TECH INFO (기술정보) › EL & ES Gallery
조회 수 3409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Interlift 2017 현장중계(2)


인터리프트에서 확인한 승강기 최신 트렌드
“글로벌 승강기 동향 파악하고 영업전략에 따른 솔루션 개발 의지 다져”



기고 : (주)금강테크 엘리베이터 김민성 주임


전 세계 승강기가 모이는 자리
전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승강기 전시회로 알려진 인터리프트는 올해 48개국 / 574개사가 참여해 다양한 제품들을 전시했다. 독일에서 열리는 전시는 지역적인 특성상 유럽 승강기 업체들이 대다수 참가한 모습이다.
올해는 기존에 열렸던 전시보다 중국 참가업체가 증가했는데, 많은 중국 업체들이 다양한 승강기 부품을 만들어 관련 시장 진출 확대를 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럽 승강기 표준인 EN81-20/50 인증에 맞춘 제품들이 크게 증가한 점도 주의 깊게 살펴봤다.
인터리프트가 한국이나 중국전시와 가장 크게 구분되는 지점은 홈리프트 분야다. 유럽의 경우 유압식승강기 중심의 홈 리프트 및 휠체어 리프트에 관련된 제품이 폭넓게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많이 접할 수 없는 제품들을 다양하게 살펴볼 수 있었던 기회였다.
한편 이번 전시에는 세계 Major 승강기 제조사들도 다수 참여했는데, 이중에는 국내에서 철수한 코네(KONE)社가 대규모 부스를 운영하고 있었다.

-홈 리프트
유럽은 공동주택이 보편화된 국내와 달리 주거형태가 단독주택, 혹은 저층의 빌라형태가 대부분이다. 이런 주택시장의 특성을 반영해 개폐식 Door, 미니 홈 리프트에 대한 수요가 높은 편이다. 실내에서 계단을 오르기 힘든 환경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주로 설치되고 있다. 미니 홈 리프트는 작은 공간에 설치 가능한 형태로 업 슬라이딩, 측면 개폐형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유럽에서 사용되는 홈 리프트는 유압식 실린더에 인버터 및 PLC 방식을 도입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에 실내 인테리어를 고려한 누드형 리프트와 같이 외적 요소를 강화한 타입이 많이 채택되고 있어 전시장에서도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약자 및 장애인을 위해 계단용 리프트, 홈 간이식 리프트 등 휠체어를 타고 이동하는 형태가 많았다. 디자인과 기능 등도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홈 리프트의 수요는 상대적으로 낮으며, 단독주택 개별설치에 따른 다양한 안전관리 의무사항이 따른다. 개인이 관리하기 어려운 국내 상황을 고려했을 때, 홈 리프트에 대한 시장반영이 어렵다고 판단된다.

-엘리베이터 및 에스컬레이터
승객용의 경우 대부분 인테리어 중심으로 전시가 이뤄졌다. 엘리베이터 제조사들은 카 인테리어 및 조작패널과 같은 인터페이스에 중점을 뒀다. 한 미국기업은 공기압의 원리(주사기 피스톤 원리)로 움직이는 승강기를 선보였는데, 공사 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좁아서 승강기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 반면 용량이 적고 소음이 큰 점은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였다.
에스컬레이터의 경우 제조공장이 대부분 중국내에 위치하고 있었던 탓인지 일부 중국기업들만 참여했다.
트렌드에 맞게 발전하는 승강기 관련 부품들
승강기 관련부품 중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던 것은 승강기 운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제품들이다. 층간 레벨 안정화를 위한 다양한 스위치 및 CP 연동 프로그램들이 소개됐다. 로프 텐션 및 장력 측정을 할 수 있으며 loT를 접목을 통한 관리 지원이 대세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CP / 승강기 카 내부와의 loT 확대도 눈여겨 본 품목 중 하나다.
핵심부품의 간소화 및 특화제품도 시선을 끌었다. 권상기+하부 시브를 일체화 해 크기와 구조를 최소화 한 제품, 벽면 MRL 타입 리프트의 축소된 제어반, 다양한 스위치 및 오일 버퍼등 (대부분 이탈리아 및 터키, 중국 회사 참여)도 다수 출품됐다.
유럽은 승강기 설치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제품들이 많은 편인데, 이는 작업규정이 까다로운 유럽 규격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전동식 간이 리프트 및 설치자 안전을 위한 다양한 솔루션, 건물 리모델링에 필요한 안전수단(중대형 부속품의 이동제안 솔루션등)의 발전 속도를 체감할 수 있었다. 또한 에너지 절약 중심의 LED 확대, 전기전력의 최소화를 위한 일체형 부속품 확대도 유럽 승강기 시장에서는 크게 주목하고 있는 분야다.


국내시장과 유럽시장의 차이 체감
중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해외 업체들은 국내의 아파트 중심 승객용 승강기보다 좀 더 세분화돼 있고,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국내에서 이러한 제품들이 적용될지는 미지수인 것 같다. 아무래도 유럽은 도시 전체가 유적지라고 불릴 만큼 오래된 건물이 많고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덕분에 리모델링에 대한 다양한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존 건물의 심미성을 유지하면서도 생활 편의성을 높이는 승강기 제품들이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었다.
반면 국내는 기존 상가 건물, 오래된 아파트 등에 설치된 노후 승강기 교체공사 정도의 수준으로 리모델링이 이뤄지고 있어 기술적인 발전이 이뤄지기 힘든 구조다. 그러나 현재 특수현장, 공동주택 노후화로 승강기 리모델링이 증가하고 유지보수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개별 기업마다의 영업전략 차원에 따라 솔루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04 승강기안전공단, 시민에 시설물 개방으로 사회적 가치실현 삼성엘텍 2018.11.12 34510
1503 미쓰비시, 세계 최고속 분속 1,230m 엘리베이터 기술 개발 삼성엘텍 2017.02.07 34499
1502 연장프레임 공법으로 에스컬레이터 내진성능 강화 삼성엘텍 2017.11.09 34496
1501 코네, 독일에 세계최초 '아치형' 에스컬레이터 설치 삼성엘텍 2017.02.07 34434
1500 LH, 중소 스마트홈 자재 적정가격 보장한다 삼성엘텍 2018.02.08 34420
1499 엘리베이터 1000대 중 992대 ‘지진관측감지기’ 없다 삼성엘텍 2017.02.22 34413
1498 히타치, 22년 만에 한국 승강기시장 재진출 삼성엘텍 2017.12.06 34386
1497 2017 국정감사 에서는.. 삼성엘텍 2017.12.06 34382
1496 보복부, 엘리베이터·지하주차장 등 공동주택 내 금연구역 지정 삼성엘텍 2017.02.07 34352
1495 티센, 목적층 제어시스템 ‘AGILE’ 엘리베이터 향상 패키지 출시 삼성엘텍 2018.01.04 34338
1494 서울지하철, 교통약자 엘리베이터 우선 사용 강조 삼성엘텍 2018.06.09 34278
1493 더 촘촘해지는 승강설비 기준 삼성엘텍 2017.02.07 34253
1492 2017년 표준유지관리비, 전년보다 7.1%증가 삼성엘텍 2017.02.07 34244
1491 강남구, 관내 모든 아파트 승강기에 항균필름 지원 삼성엘텍 2020.06.11 34200
1490 티센 ‘멀티’ 독일디자인어워드서 혁신성 인정받다 삼성엘텍 2017.11.09 34192
1489 현대엘리베이터 터키 현지법인 설립, 제2의 홈 마켓으로 육성 삼성엘텍 2017.02.07 34179
1488 중국 깡리, 아시아 최대 규모 기차역 될 ‘펑타이역’프로젝트 수주 삼성엘텍 2019.10.17 34147
» Interlift 2017 현장중계(2) 삼성엘텍 2017.12.06 34097
1486 “케이블카 안전관리실태 허점많아”...국토부, 규정강화 검토 삼성엘텍 2019.02.12 34077
1485 에스컬레이터 원격 상태 감시 및 고장예측 장치 개발에 관한 연구 삼성엘텍 2017.02.07 34072
Board Pagination ‹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82 Next ›
/ 8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