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CH INFO (기술정보) › EL & ES Gallery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주 52시간 근무 시대 개막…기업, 현장 혼란 줄이기 ‘안간힘’
시정기간 6개월 처벌유예…하반기엔 탄력적 근로시간제 개선
승강기 업계, 제조·건설·서비스 현장에 추가 필요 인력 확보 나서

 
이달 1일부터 개정 근로기준법이 시행되면서 본격적인 주 52시간 근무시대가 열렸다. 2004년 토요일 근무를 없애는 주 5일제를 도입한 뒤 14년 만에 큰 변화가 시작된 셈이다.
300인 이상 기업과 공공기관 노동자는 1주일 동안 노동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이 평일과 휴일근로를 포함해 52시간 이내로 제한된다. 50~299인 사업장은 2020년 1월1일, 5~49인 사업장은 2021년 7월1일부터 시작된다. 18세 미만인 연소근로자의 노동시간도 1주 최대 40시간으로 제한된다.
실제 고용노동부가 300인 이상 3,627개 사업장을 조사한 결과 59%는 이미 주 52시간 이내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요 대기업들은 선택적 근로 시간제 등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하며 적응 훈련을 하고 있다. 현대차는 이미 생산직 8시간 교대 체제를 구축했고, LG전자는 올 초부터 주 40시간 근무제를 시범 운영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경우 개발·사무직을 대상으로 월평균 주 40시간 내에서 출퇴근 시간과 근로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선택적 근로 시간제를 시작했다.
승강기 업계에서 현재 52시간 근무제를 시행해야 하는 곳들은 대부분 대기업들이다. 현대엘리베이터,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 오티스엘리베이터 모두 1,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어 이달 1일부로 근무시간 단축에 들어가야 한다.


6개월 간 처벌 유예로 급한 불은 껐지만 완전히 정착되기까지는 시간 소요될 듯
정부가 산업현장의 준비부족을 이유로 6개월간 단속 및 처벌 유예기간을 두기로 결정하면서 시행준비가 미흡했던 기업들은 당장 급한 불을 껐지만, 기업들은 여전히 갈피를 잡지 못하는 분위기다.
예상과 달리 근로시간 단축 시행과 관련 비교적 준비가 잘됐다고 하는 대기업들이 중소기업보다 걱정이 더 큰 양상이다. 사람인에 따르면 대기업(71.4%)이 중소기업(63.6%)보다 근로시간 단축시 인건비 상승, 생산성 저하 등 악영향이 더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수의 기업이 모의실험 수준의 준비에 들어갔으나, 명확한 기준을 잡지 못해 당분간은 시행착오를 각오하고 있다. 예를 들어 출장이나 회식, 외부 업무 미팅 등 여러 상황에 따른 근무 적용 여부가 모호해 기업들이 혼란해 하고 있다.
특히 승강기 업종은 제조, 설치, 유지관리 업종을 모두 아우르는 산업군이다. 제품연구 및 생산, 설치공사, 24시간 유지보수 서비스 등 업무특성에 따른 근무기준을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세부적인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각 기업들은 노동법 개정 이후 근로시간 단축에 대비해 여러 방안을 고민하고 있으나,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아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티크루프엘리베이터는 개정 근로기준법에 대응하기 위해 ‘근로시간 단축과 임금체계 개선을 위한 TF’을 운영 중이다.
티센크루프 관계자는 “외부 노무법인에 의뢰해 컨설팅도 받고 있는 단계”라며 “인사노무혁신실 등 유관부서 관계자들 중심으로 구성된 TF에서 승강기 분야에 적절한 근무체계를 만드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어 확답을 하기 조심스러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현장 추가 필요 인력에 대한 기준 제시 없어...업종별 면밀한 분석 필요
한편, 근무시간 단축에 따른 추가 필요 인력 등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일부 기업들은 생산 차질에 대해 우려도 하고 있다. 특정 시기에 노동력이 집중되는 일부 건설·가전·식품 등의 업종에서는 당장 얼마나 더 많은 현장 인력을 투입해야 하는지 기준이 없어 직접 부딪히며 알아가야 하는 상황이다.
2,000명이 넘는 직원수로 기업규모가 가장 큰 현대엘리베이터는 제조 설치 본부별 협의를 진행해왔으며, 원활한 근무시간 단축 시행을 위해 대거 인력채용을 계획하고 있다.
현대 관계자는 “상시 인력이 필요한 설치 및 유지보수 업무, 대형현장 상주업무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신규 인력을 배치할 예정”이라며 “아직은 인력배치의 적절한 기준을 짐작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어 사측과 노조 간 합의, 검토를 통해 충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4 티센크루프 설치현장, 2월 한 달간 ‘올스톱’ 되나 삼성엘텍 2020.04.12 30442
583 부산도시철도 누적승객 80억 명 돌파 삼성엘텍 2019.10.17 30445
582 행안부, 승강기 AI 기술개발에 3년간 20억 원 지원 삼성엘텍 2018.11.12 30457
581 20년 이상 노후 아파트에 공용시설 수선비 융자지원 삼성엘텍 2018.09.05 30461
580 유튜브로 승강기 안전 배워요” 공단, 승강기 안전 공모전 개최 삼성엘텍 2019.09.11 30462
579 승강기안전공단, 설맞이 사회공헌으로 이웃에 온정 전해 삼성엘텍 2020.03.06 30465
578 티센크루프 글로벌, 피터 워커(Peter Walker) 신임 CEO 임명 삼성엘텍 2019.03.05 30470
577 공항철도, 차세대 통합정보시스템 ‘아르고스’ 구축 삼성엘텍 2019.05.10 30470
576 부산에 승강기 이용 안전문화 확산한다 삼성엘텍 2019.09.11 30470
575 UNIST 연구진, 금속 환경서 무선 통신하는 새 방법 발견 삼성엘텍 2018.08.08 30478
574 승강기관리산업조합, 광화문서 하위법 개정안 반대 집회 삼성엘텍 2018.07.09 30483
573 [2018년도 국정감사 일정]국토부·행안부 삼성엘텍 2018.11.12 30484
572 공단 호남지역본부, 지역 승강기 인재확보에 도움 줘 삼성엘텍 2020.01.24 30489
571 포켓주차장’ 아이디어로 차량통행 불편 해소 삼성엘텍 2018.08.08 30490
570 심재권 의원, 주차기에 추락방지장치 설치하는 주차장법 개정안 발의 삼성엘텍 2018.06.09 30495
569 독일 티센크루프 그룹, 23조에 엘리베이터 사업 매각 삼성엘텍 2020.06.11 30495
568 큐디스, 전방위 싱글 카메라방식 12면 주차관제 솔루션 출시 삼성엘텍 2018.10.11 30496
567 현대E/L, 혹서기 현장 안전 강화 다짐 삼성엘텍 2019.08.10 30500
» 주 52시간 근무 시대 개막…기업, 현장 혼란 줄이기 ‘안간힘’ 삼성엘텍 2018.08.08 30502
565 입찰담합 분동운반 용역업체에 과징금 2억6천만 원 부과 삼성엘텍 2019.05.10 30504
Board Pagination ‹ Prev 1 ...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82 Next ›
/ 8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