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ECH INFO (기술정보) › EL & ES Gallery
조회 수 3104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 - Up Down Comment Print
서울 지하철, 구의역 사고 후 승강장 안전문 고장 68% 감소

 서울교통공사, PSD 일평균 고장 건수 ‘16년 9.3건에서 ‘18년 3건으로 줄어
구의역 사고 후 안전대책 추진…정비직원 수 235명 늘리고 직영화 및 정규직 전환


승강장 안전문 고장률이 2년 사이 70%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교통공사(사장 김태호)는 지난해 서울지하철 1~8호선의 승강장 안전문(PSD) 고장 건수가 구의역 사고가 발생한 2016년과 비교해 약 68% 감소했다고 밝혔다.
승강장 안전문 고장 건수는 PSD 관제센터에 접수된 승강장 안전문 장애 건수 중 주요 부품을 교체한 경우를 기준으로 2016년 9.3건에서 2017년 3.7건, 2018년 3건으로 줄었고 올해는 4월 기준으로 2.2건을 기록해 3년 연속 감소 추세를 보였다.
특히 시민 안전과 서비스 강화를 위해 두 개 기관이 서울교통공사로 통합 출범한 첫해인 2017년 전년 대비 5.6건 감소했고 작년도 전년 대비 0.7건, 올해 0.8건 줄어들었다. 서울 지하철 운영기관 통합 이후 비용보다 ’안전’에 초점을 맞추고, 관련 업무분야에 안전대책을 지시했던 교통공사의 노력이 결실을 맺었다는 평가다.   
 
PSD전담조직 신설…정비직원 수 146명→381명
구의역 사고는 2016년 5월 28일 서울지하철 2호선 구의역 내선순환 승강장에서 승강장 안전문을 수리하던 외주 업체 직원이 열차에 치여 사망한 사고다. 공사는 구의역 사고 이후 그동안 승강장 안전문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해 추진해왔다. 가장 먼저‘위험의 외주화’로 지적받았던 승강장 안전문 유지보수 작업 안전을 위해 정비직원 수를 146명에서 381명으로 늘렸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승강장 안전문 전담 관리 조직을 신설하고 235명의 전담직원이 보강되면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2인 1조 작업 원칙이 지켜질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외주 용역업체에서 맡았던 승강장 안전문 정비를이를 직영화하고 외주업체 정비직원을 공사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등 안정적인 작업이 이뤄지게 했다. 아울러 승강장 안전문의 장애물검지센서를 레이저스캐너 방식의 센서로 교체하면서 선로측이 아닌 승강장에서 안전하게 점검과 유지보수가 가능해졌다.


고장 덜나는 레이저센서 설치로 PSD 장애율 낮춰 
승강장 안전문의 장애율을 낮추고 가동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안전장치도 대거 보강했다.
레이저스캐너 방식으로 교체된 장애물검지센서는 기존의 포토센서, 에어리어센서 방식에 비해 설치비용은 높지만 장애율은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승강장 안전문 고장 원인의 30%를 차지하던 센서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기존 에어리얼 센서가 선 단위로 장애물을 검출했다면 레이저 스캐너는 면 단위로 장애물을 검출해 더 민감하게 장애물을 식별한다.
또한 투·수광기 일체형 제품으로 승강장 안전문 외부에서 작업이 가능해 작업자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다. 교통공사에 따르면 현재까지 267개역 19,024개소에 레어저 스캐너로 교체가 완료됐다.
한편, 공사는 장애물검지센서의 이상 유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모니터링시스템을 1호선 서울역 등 10개 역에 연말까지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기관사가 승강장 안전문의 고장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도록 1호선 종로5가역 등 76개역의 승무원 안내장치(HMI)를 고휘도 LED형으로 교체했다. 2호선 왕십리역 등 승강장 안전문 장애가 잦은 10개역의 주요 부품도 교체해 개선했다고 밝혔다.


노후 승강장 안전문 전면 재시공
2016년 전수조사와 전문가 의견을 거쳐 전면 재시공이 결정된  9개 역의 노후 승강장 안전문 중 8개 역이 1년 6개월여 만에 교체 공사를 마무리하고 4월부터 정상 가동을 시작했다. 교통공사는 지난 2017년 10월부터 167억 원의 예산을 들여 2호선 방배역, 신림역, 성수역, 3호선 을지로3가역, 5호선 김포공항역, 왕십리역, 군자역, 광화문역에 대해 승강장 안전문 교체를 추진했다. 5호선 우장산역은 현재 설치가 진행 중이며 6월부터 시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새로 설치된 승강장 안전문에는 한국철도표준규격(KRS)과 함께 철도 시스템 안정성 규격 RAMS(RAMS: Specification and demonstraion of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and safety)를 적용해 부품의 신뢰도를 높였다. 여기에 까다로운 것으로 알려진 유럽형 국제안전기준 SIL(Safety Integrity Level)을 적용해 국제인증기관인 티유브이슈드(TUV SUD)로부터 검증을 마쳤다.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구의역 사고 이후 서울교통공사는 정비직원 수 보강과 직영화, 정규직화 전환 등 끊임없는 안전혁신을 추진한 결과 승강장 안전문 고장 건수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며 “향후 유지보수 직원의 전문성 향상 등을 통해 장애를 최소화해 안전성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44 중기부, 제조업 창업기업 부담금 면제 5년 연장 삼성엘텍 2018.04.04 31024
443 승강기대학, 유지보수 분야에 가상현실 교육 도입 삼성엘텍 2018.05.08 31027
442 IoT센서로 에스컬레이터 보수시간 줄이고 고장도 예방 삼성엘텍 2018.06.09 31037
441 국내 중기 최초 ‘12톤용 추락방지장치’ 출시 삼성엘텍 2018.06.09 31041
» 서울 지하철, 구의역 사고 후 승강장 안전문 고장 68% 감소 삼성엘텍 2019.07.16 31041
439 SH공사 ‘디자인 혁신 자문단’출범…디자인 전문성을 높여 삼성엘텍 2019.12.22 31044
438 홍림, 엘리베이터용 지진감지기 국산화 앞당겨 삼성엘텍 2018.12.21 31046
437 김영기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신임이사장 삼성엘텍 2018.05.08 31049
436 민원 빅데이터 분석으로 불법주정차 예방 가능해질까 삼성엘텍 2018.06.09 31051
435 국내최초 엘리베이터 편의 의자 개발 삼성엘텍 2019.06.14 31053
434 조달청, ‘현장조사’보다 ‘부당납품’에 단속 강화된다 삼성엘텍 2018.10.11 31055
433 부산교통공사, 한국승강기안전공단과 교육사업 협약 삼성엘텍 2018.05.08 31056
432 서울시, 승강기 자가발전장치 900대 추가 지원 삼성엘텍 2019.10.17 31065
431 거창서 유치원생 300명에 승강기 안전체험 교육 삼성엘텍 2019.12.22 31066
430 바른ICT연구소, 국내 ICT 발전 방향 제시 삼성엘텍 2018.06.09 31071
429 김해시, 2021년까지 주차면 1,703면 만든다 삼성엘텍 2018.05.08 31080
428 현대E/L, 올해 재해율 전년대비 72%로 낮춘다 삼성엘텍 2020.03.06 31087
427 국토부, 기계식 주차장 안전기준 대폭 강화 삼성엘텍 2020.01.24 31102
426 현대 모터스튜디오 고양 삼성엘텍 2020.04.12 31106
425 중기부, 중소기업 지원 시책설명회 개최 삼성엘텍 2018.02.08 31112
Board Pagination ‹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 82 Next ›
/ 82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