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발렛파킹’ 곧 현실화 되나

by 삼성엘텍 posted Jan 24, 202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 - Up Down Comment Print
자율주행 발렛파킹’ 곧 현실화 되나

최근 5년 사이 자율주차 기술 관련 특허 출원 증가세 커

자율주행 서비스 중 자율주차 서비스 가장 먼저 상용화 될 것으로 예측

 

운전자가 백화점에 도착해 자율주차모드를 선택하고 자동차에서 내리면, 자동차가 스스로 주차장 통로를 움직여 예약한 빈 곳으로 가서 주차하고 쇼핑이 끝나면 자동차가 주차요금을 결재하고 백화점 입구에서 대기한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 개발이 한창인 가운데, 자율주차기술이 머지않아 현실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반영하듯자율주차기술 관련 특허출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허청(청장 박원주)에 따르면, 2014년 이전 연평균 60건에 불과하던 자율주차기술 관련 특허가 2015년 이후 연평균 105건으로 가파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4년 자율주행차 관련 국제협약인 비엔나협약이 개정되고 이듬해 자율주행로드맵이 발표되면서 기술개발이 가속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10년간(2009~2018)의 출원을 기술분야별로 살펴보면, 주차장 빈자리 표시 223(29%), 가변교통 지시 218(28%), 충돌방지시스템 122(16%), 교통량검출 107(14%)으로 조사됐다.

특히 주차장의 개별 빈자리를 표시하는 기술분야가 다수를 차지했는데, 이는 주차할 때 빈자리를 찾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인 만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요구가 특허출원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를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중소·중견기업 출원 234(30%), 대기업 191(24%), 외국기업 138(18%), 대학·연구기관 108(14%), 개인 104(13%) 순으로 중소기업의 출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중소기업 및 개인은 주차장 개별 빈자리 표시 분야의 출원이 상대적으로 많고, 대기업, 외국기업, 대학·연구기관은 가변 교통지령 지시 분야의 출원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그래프 참조)

이는 중소기업 및 개인은 상대적으로 제어가 쉽고 기존 주차시설을 개선하는 응용분야의 기술개발이 많았고, 대기업 및 대학·연구기관은 센서 등이 융합된 신호체계의 교통지령을 전송해주는 기초분야의 기술개발이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전일용 특허청 로봇자동화심사과장은 자율주행 서비스 중에서, 상대적으로 제한된 지역 내에서 저속으로 움직이며 서비스가 가능한 자율주차 서비스가 가장 먼저 상용화 될 분야로 주목 받고 있다앞으로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주행경로 탐색, IoT 기술이 융합된 주차 위치표시, 그리고 5G 기술을 활용한 차량과 사물간의 통신 분야에서 연구개발 및 특허출원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Articles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

Designed by sketchbooks.co.kr / sketchbook5 board skin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