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차문제로 몸살 앓던 부천 원도심, 스마트시티 처방 통했다 주민참여형 ‘공유주차·모빌리티 플랫폼’ 첫 성공모델 사례 재개발 여파로 10년간 인프라 투자가 중단돼 심각한 주차난을 겪었던 부천시 삼정동 상살미마을이 ‘공유주차·모빌리티 플랫폼’에서 답을 찾았다. 해당 플랫폼은 부천시 내 13개 지역으로 확대되고 대중교통을 함께 연계·이용할 수 있는 통합교통서비스로 발전할 예정이다.
재개발 무산으로 낙후된 도시인프라...주차난에 몸살부천시가 국토교통부가 지원하는 스마트시티 챌린지 지자체로 최종 선정됐다. 이에 따라 3년 동안 예산 200~300억 원을 투입해 본격적으로 스마트 솔루션을 조성할 수 있게 됐다. 스마트시티 챌린지는 민간기업과 지자체가 함께 발굴한 아이디어로 기존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다. 지난해 5월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해 6개 지자체를 선정했으나, 7개월 간 실증을 거쳐 부천시만이 본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부천 삼정동에 있는 상살미마을은 지난 2009년 주택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됐으나 2018년에 해제되면서 재개발이 무산된 곳이다. 11년간 방치되다시피 한 탓에 도시 인프라는 낙후됐고, 부족한 주차장으로 인해 주택가와 인근 공장에서 나오는 차량으로 오랜 기간 동안 심각한 주차난을 겪었다.
마을 인근에 위치한 아파트형 공장 부천테크노파크 (이하 테크노파크)로 출근하는 직원들이 골목길이나 이면도로에 매일같이 100여대를 주차했다. 테크노파크에는 1,500대 정도 수용 가능한 주차장이 있지만, 주차면을 배정받지 못한 직원들이 마을에 불법주차를 한 것이다.
7개월 실증기간동안 눈에 띄는 개선 보여 상살미마을은 스마트시티 챌린지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지난 7개월간의 실증기간동안 먼저 테크노파크 주차장과 마을 내 거주자우선주차면을 공유했다. 주로 낮 시간에 빈자리가 많은 거주자우선주차구역을 인근 공장 근로자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고, 똑같이 밤사이 비어있는 공장 부설주차장을 마을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공유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테크노파크 주차장을 이용할 경우 주차대리 또는 공유모빌리티(공유카, 공유킥보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해 주차장 접근성을 높일 수 있었다. 모든 서비스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시티패스)과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해 투명하게 운영·관리했다.
해당 실험을 통해 부천시는 예비사업 기간 동안 공유 주차공간 280면을 확보하고, 37%에 불과하던 주차장수급률을 109%까지(72%p 증가) 끌어올렸다. 일평균 266대가 적발됐던 불법주차도 156대(41% 감소)로 급감했다. 여기에 마을기업(상살미 사람들)을 운영하며 21명의 고용창출효과도 거뒀다.
부천시는 “성과의 배경에는 민간기업 뿐 아니라 마을주민이 적극 참여해 사회적경제 모델인 마을기업(상살미사람들)을 설립하는 등 ‘주민참여형 사업’으로 추진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주차난 해결과정서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모델 구축상살미사람들은 공유서비스를 기업과 함께 운영·관리하면서 불법주차 점검 지원 등을 수행하고, 부천시는 조례 개정을 통해 거주자우선주차면 배정 수입(1면당 월 3만원)의 70%를 마을기업에 지원한다.
국토부가 최종 사업지로 부천시를 선택한 것은 주민참여와 지자체의 의지로 마을기업을 통한‘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운영모델’을 구축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부천시 ‘공유주차·모빌리티 플랫폼’모델의 혁신성과 우수성이 입증되면서 여러 지자체와 기업, 해외에서 많은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지난해 싱가포르, 몽골, 세르비아, 인도네시아 등 주차난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국가와 도시에 집중적으로 소개된 바 있으며, 몽골 수도인 울란바토르는 부천시 자문을 통해 국토부가 주최한 ‘K-City Network’ 국제공모에서‘모빌리티 플랫폼 기본구상’ 지원대상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경기도와 서울 자치구 등 10여개 지자체, 한컴모빌리티, 오션네트웍스, 동부아이씨티 등 등 10여개 기업에서 솔루션 벤치마킹을 위해 부천시를 방문하기도 했다.
상살미 마을 성공 사례, 전국확대 및 수출 기대국토부는 스마트시티 챌린지 프로젝트 기간 동안 부천시 내 주차난을 겪고 있는 13개 지역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공유모빌리티와 대중교통수단간 연계를 통해 최적경로안내·통합예약·결제·환승이 이뤄지는 Maas(Mobility As A Service) 플랫폼 고도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의 안전·환경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LED 빔 무단횡단 예방 안전 가상울타리, 영상 AI기술을 활용해 쓰레기 불법투기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하고 효율적인 환경미화를 지원하는 솔루션 등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 사업을 통해 2022년까지 부천시에 14개 마을기업 설립, 300개의 신규고용 창출, 연간 49억 원의 경제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현미 장관은 지난달 24일 부천시청을 찾아 17개 참여기업과 간담회를 가졌다. 김 장관은“부천시가 마을기업 및 중소기업과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공유주차 및 모빌리티 플랫폼을 만들어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한 점은 포용적 스마트시티의 좋은 사례가 될 것”이라며 “남은 3년 동안 본사업을 통해 지역 주민들이 더욱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부천시와 주민, 관련기업들이 더 열심히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덧붙여“지자체·기업·주민이 함께 참여한 스마트시티 챌린지의 높은 혁신성과 성과가 입증된 만큼, 많은 국민들이 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전국적인 확산과 해외수출을 위한 재정지원, 기술컨설팅, 규제혁신 등 정책적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약속했다.